Python - 자료형

2020. 5. 13. 18:07·Programming/Python
728x90

1. None

2. 정수형 자료

3. 실수형 자료

4. 복소수형 자료


1. None의 개념

None은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의 상수다.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주로 사용 된다.

 

x = None
a =1
if a ==1:
    x=[1,2,3]
else:
    x='I love Python'
print(x)

-> x는 아무것도 없지만 상수이기 때문에 1,2,3이 출력된다.

 

2. 정수형 자료

자연수, 음수와 0으로 이루어진 수의 체계를 정수라고 한다.

일반 프로그래밍에서 지원하는 정수형 상수의 범위는  -2,147,473,647 ~ 2,147,473,647 (2^31)인데

파이썬은 메모리가 허용하는 범위에서 지원 가능한 수를 다 사용할 수 있다.

for i in range(10000000000000):
    a=i
    print(a)

-> 오래 걸리긴 하지만 출력된다

 

3. 실수형 자료

실수는 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유리수와 소수로 나타낼 수 없는 무리수로 구성된 집합이다.

파이썬은 실수를 지원하기 위해 부동 소수형을 제공한다

 

*부동 소수형의 특징

- 8바이트만 이용해서 수를 표현한다. 즉 한정된 범위의 수만 표현 가능하다

- 디지털 방식으로 소수를 표현해야 하므로 정밀도의 한게가 있다.

print(43.2 - 43.1)

 

4. 복소수형 자료

복소수는 실수부와 허수부로 되어있고 허수부는 숫자뒤에 문자 i를 이용하는데 파이썬에서는 j로 사용한다.

a =   1   +    3j

   실수부   허수부

c1 = 1+7j
print(c1)
print(c1.real)    #복소수형 자료에서 실수부만 취한다
print(c1.imag)    #복소수형 자료에서 허수부만 취한다

c2 = complex(2,3) #실수부가 2이고 허수부가 3인 복소수를 만든다
print(c2)

'Programming/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Python - Pandas 기본 사용법
  • Python - 연산자
  • Python - 반복문
  • python 기초
해치
해치
뭐라도 하자
  • 해치
    hi there
    해치
  • 글쓰기 관리자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  • ALL (70)
      • Programming (62)
        • Python (14)
        • SQL (13)
        • 알고리즘 (35)
      • Framework (4)
        • Airflow (3)
        • Django (1)
      • Infra (3)
        • Docker (3)
        • Linux (0)
      • AWS (0)
      • Dashboard (1)
  • 블로그 메뉴

    • 링크

    • 인기 글

    • 최근 댓글

    • 최근 글

  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3
    해치
    Python - 자료형
    상단으로

    티스토리툴바